개발 공부도 좋지만,
역시 성공을 하려면 돈을 벌고, 그 돈을 어떻게 쓰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
돈은 유동적이야 그 가치가 생긴다고 생각한다.
돈을 벌고 투자를 하는 법을 알아보자.
그래서 시작한게,
주식 책을 산 것이다.
주식 책을 하루에 30분정도라도 보면서 이렇게 배운 것을 정리하려고 한다.
지금은 초반이니까 그냥 무지성으로 필기했던 것을 쓰려고 한다.
이렇게 하는 게 맞겠지.. 하하
참고 책 : 왕초보 주식 투자 시크릿 (박동우)
- 2011년 1월 주식 투자자는 460만명에 달한다.
- 시가총액은 1300조 원에 이른다.
- 2010년 7월에는 외국인 투자자가 3만명을 돌파했다.
- 1년 동안 돈을 가장 많이 번 수단이 부동산 다음으로 주식이 높았다.
- 주식은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.
- 남들이 많이 사는 종목이라고 샀다가는 큰 코 다치기 십상이다.
- 대한민국 2% 부자들은 거의 남들이 하지 않는 차별화 전략을 구사했다.
- 지난 10년간 주식과 부동산을 비교해본 결과 수익률은 주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- 아파트 지수는 2000년 12월에 101.4에서 2010년에 236.2 (2.3배) 뛰었다.
- 코스피 지수는 504.6에서 2051.0(4.1배) 뛰었다.
- 주식 투자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.
- 수익률은 주식이나 안전성은 부동산이다.
- 주식은 변동이 심하나 부동산은 변동 폭이 크지 않다.
- 주식 투자는 많은 변동으로 인해서 10년 동안 참고 기다리기가 매우 힘들다.
- 블루칩 : 우량주
- 블루칩과 함께 등락하는 아파트 시세
- 환금성 : 물간을 팔아서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성질
- 우량 아파트는 주식과 마찬가지로 환금성이 좋기 때문에 아파트는 블루칩과 함께 등락한다.
- 주식과 아파트 둘 다 투자 가치가 있다.
- 예금과 같은 이자 수익을 목표로 한 자산 운용은 현금 유동성 확보 차원이라는 의미 외에 다른 것은 없다.
- 주가가 오를 때 투자하고 반대로 하락할 때 매도하는 거꾸로 된 매매 패턴은 인간들이 갖고 있는 본연의 본성 때문이다.
- 변동성에 따른 심리적 압력에 대처하는 길은 장기 투자에 대한 믿음을 갖는 것이다.
- 현재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장기투자에 적합한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.
- 서프 프라임 모기지 사태 : 2007년 미국의 초대형 모기지론(주택 담보 대출) 대부업체들이 파산하면서 시작된, 미국 만이 아닌 국제 금융 시장에 신용 경색을 불러온 연쇄적인 경제 위기를 말한다.
- PER : 주가 수익률 (price earning ratio)
- 우리가 주식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1. 예금 보다 높은 금리 2.우리나라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3.우리나라 경제는 고성장 단계에서 저성장 단계로 넘어왔다.
- 기업들은 과거에는 미국 중심으로 수출했지만 최근에는 중국, 인도, 브라질 등 급속히 성장하는 신흥 국가에서 빼어난 실적을 올리고 있다.
- 고성장 과정에서 기업들은 성장 확대 전략을 구사한다.
- 증자 : 주식회사나 유한 회사가 사업 확장과 운전 자금의 보충을 위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일
- 주식의 희석화: 주식의 가치가 낮아지는 것을 말한다.
- 주식 수량이 많아지면 주가 희석화 현상이 발생한다.
오늘은 여기까지!